국내 두경부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연구 측정변수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Nursing Research fo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in Korea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Biol Nurs Sci. 2019;21(3):161-168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이 순늠
Department of Nursing, Andong Science College, Andong, Korea
Corresponding author: Lee, Soon Neum, Department of Nursing, Andong Science College, 189 Suseongil, Seohu-myun, Andong, Gyeongbuk, 36616, Korea +82-54-851-3737 +82-54-852-3530 neum21@hanmail.net
Received 2019 June 11; Revised 2019 July 28; Accepted 2019 August 05.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a literature review study) was to confirm the trend of nursing research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in Korea. Methods: Research databas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from 13 papers (2004 through 2019 using KISS, NDSL, RISS, DBpia,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s a result of this paper, we found that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used questionnaires. Results: Measurement variables related to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were physical variables related to oral condition,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related to family, and quality of life as a result variable. Conclusion: Therefore,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clinical nursing research considering the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family aspects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qualitative research o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tervention studies to verify effects, and development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Keywords: 두경부암; 간호; 종설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사망 원인 중 1위는 악 성종양으로 보고되었다[1]. 성인 남성에게 발생한 종양 중에서 2014 년에 처음으로 10위에 등록된 암은 바로 두경부암이다[2]. 두경부암 은 뇌와 안구를 제외한 머리와 목 부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구강, 후두, 인두, 비강 등에 발생하는 종양을 의미한다[3]. 두경부암 은 다른 종류의 암에 비해 발생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국내에 서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2], 앞으로 질환에 대한 적 극적인 이해와 관심이 요구된다[4].

두경부암의 원인으로는 흡연, 음주 등이 있고, 치료방법은 수술 과 방사선 요법이 주로 사용되며, 항암 요법이 보조적으로 이용된다 [5]. 치료방법 중에서 수술요법이 가장 먼저 고려되어지며, 질병의 상 태에 따라서 결정된다. 수술 부위는 국소적 절제에서 얼굴의 구조 를 완성하는 조직의 제거, 전이 여부에 따라서 안구적출까지도 시 행될 수 있다[6]. 수술이후에 환자는 신체상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특히 두경부암의 특성상 외모와 목소리 상실은 충격적인 부분이 있고[6,7], 전이와 재발이 다른 암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므로, 질병을 치료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환자와,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다양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4].

두경부암 환자는 치료하는 과정에서 신체적으로는 연하곤란, 식사장애 및 영양장애, 통증이 나타나며, 외모의 변화와 음성의 장애로 자존감 저하가 발생하고, 이러한 신체적 증상은 대인관계의 감소와 사회적 고립감으로 연결되며, 장기간의 질병 치료와 관련된 경제적 어려움까지 동반하게 된다[7]. 이러한 질병의 치료와 적응 과정은 환자에게 정신적 우울과 불안감을 증가시키며[8-10], 결과적으로 삶의 질이 낮아지게 된다[6,7]. 환자의 장기간의 치료과정을 지켜보는 가족은 회복과 재활 단계에서 간병에 대한 부담감이 높았다. 특히, 환자의 수술로 인한 외모 변화와 의사소통 문제, 사회적 고립감으로 가족들도 탈진과 좌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한편, 두경부암 환자의 간호 전략 개발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이론에 근거한 과학적인 접근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과학적 접근 방법 중에서 통합적 문헌 고찰은 다양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근거기반 실무를 계획하는데 유용하다[13]. 그리고, 주어진 연구 문제를 확인하는 개별 연구도 중요하지만, 지금까지 선행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현재까지 연구의 흐름을 확인하고 방향을 안내하는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해당 분야의 학문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14]. 국외에서는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신체 이미지[7], 삶의 질[11], 심리적 경험에 대한 메타분석 등[15]의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가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은 상태이다.이와 같이 문헌을 통해 살펴본 두경부암은 환자와 가족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어려움이 있어[7], 무엇보다 간호사의 긍정적인 대처와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9,10]. 그리고 두경부암은 호흡, 언어, 식이 등과 관계된 신체부위에 발생하는 질환의 특성상 다양한 지식과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질환이다[7].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약해져 있는 두경부암 환자에게는 간호사의 보다 세심하고 전문적인 간호가 요구되며, 간호학적 차원에서 다양한 간호중재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최대한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적극적 간호전략이 필요하다[11]. 더 나아가 환자와 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과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13].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연구 문헌을 탐색하여, 현재까지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동일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를 위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질환과 환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임상실무에서 두경부암 환자를 위한 통합적 간호제공, 다양한 간호 중재 개발, 임상 간호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간호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 동향을 확인하여 두경부암 환자 간호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국내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된 간호학 연구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에서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간호학 분야의 양적,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논문의 구체적인 선정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한 결과 두경부암 환자에 대한 간호학 연구의 시작이 2000년대 초반에 이루어진 점을 고려하여, 2003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3. 연구의 절차

국내에서 연구된 두경부암 환자에 대한 다양한 논문을 최대한 통합적으로 고찰하고자 Whittemore와 Knafl [13]이 제시한 연구방법에 근거하였다. 이들이 제시한 연구의 단계는 문제 확인, 문헌 검색, 자료 평가, 자료 분석, 제시 등의 5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적용한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문제 확인

본 연구는 국내 두경부암 환자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두경부암 환자에대한 간호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가 국내에서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는 ‘국내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간호연구의 동향은 어떠한가?’ 이다.

2) 문헌 검색

본 연구에서는 2019년 4월1일부터 4월21일까지 문헌을 검색하였 다. 이용한 데이터베이스는 국가 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국회도서관, DBpia 등 총 5개이다. 두경부암은 주로 구강, 후두, 인두, 비강에 발생하는 종양이라는 점[2]에 근거하여 ‘두경부암’, ‘구강암’, ‘후두암’, ‘비강암’, ‘간호’를 주제어로 논문을 검색하였다.

문헌의 선정기준은 2003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논문으로 전문 확인이 가능한 논문이다.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거나, 간호학 연구가 아닌 논문,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논문 등은 제외하였다. 문헌 검색 결과 KISS 6편, RISS 19편, NDSL 24편, 국회도서관 12편, DBpia 37편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논문은 총 98편이었고, 이들 논문 중 중복 논문 12편은 제외하였다. 특히,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의 저자와 내용이 동일한 논문은 이중 추출논문으로 제외한 후 학술지 논문으로 분류하였다. 제목 및 초록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64편을 배제하였다. 전문 확인이 어려운 2편을 제외한 후 총 20편의 논문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논문 2편과 간호학 연구가 아닌 논문 5편을 배제하여 총 13편의 논문이 포함되었다. 분석 문헌을 선정한 과정은 (Figure 1)과 같다.

Figure 1.

Flow of the literature search selection

3) 자료 평가

문헌검색을 통해 선정된 논문의 질 평가는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Agency (NECA)의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16]에 근거하여 연구대상자 선정, 연구방법, 자료수집 방법, 자료 분석 방법, 연구결과 제시의 정확성 영역에 대하여 비뚤림 위험을 높음, 낮음, 불확실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문헌의 선정기준인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연구 논문인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논문 13편이 최종 선정되었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17]를 기초로 연구자가 Excel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작성한 코딩 표를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대상 논문의 일반적 특성(논문 저자, 출판연도, 연구 유형, 연구 설계, 연구 대상자), 두경부암 환자와 관련된 측정변수 및 주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5) 제시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통해 고찰한 결과를 Table 1과 같이 제시하였다. 논문의 일반적 특성(논문 저자, 출판연도, 연구 유형, 연구 설계, 연구 대상자), 두경부암 환자와 관련된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연구 변수의 동향을 확인하기 위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가족관련 변수, 개인역량변수, 결과변수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Table 2).

List of Reviewed Article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related variables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 논문의 특성

본 연구에서는 국내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 연구 논문 총13편을 분석하였다(Table 1). 년도 별 출판 현황, 연구의 유형,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측정 변수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논문 발표년도가 가장 빠른 것은 2003년이었고, 가장 최근 연구는 2019년이었다. 연구의 유형은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이 5편이었고, 나머지 8편의 논문은 모두 석사 학위논문이었다.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 연구 8편, 실험 연구 4편, 방법론적 연구가 1편이었다. 서술적 조사연구 8편중 2편은 종단적 조사연구로, 삶의 질을 확인한 연구와 방사선 치료전후 구강상태 및 피로를 시간적 순서에 따라 종단적 확인한 연구들이었다. 실험연구 4편중 2편은 유사 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며, 2편은 무작위 통제군 전후 실험설계이었다. 실험연구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영역을 포함한 지지적 간호중재 2편, 어깨 운동 프로그램 1편, 찬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구강 함수 중재가 1편이었다. 그리 고, 방법론적 연구는 수술환자를 위한 교육용 소책자 개발 연구로 확인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3편의 논문 중에서 12편은 구강, 비강, 후두암 등 전반적인 두경부암 환자를 포함하는 연구이었고, 1편은 구강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었다. 두경부암 환자 중에서는 방사선 치료중인 환자 대상 연구가 1편,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를 동시에 적용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이며, 나머지 10편의 연구는 모두 수술 후 두경부암 환자가 대상이었다.

2. 국내 두경부암 환자와 관련된 측정변수

문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두경부암 환자와 관련된 측정변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가족과 관련된 변수, 개인역량과 관련된 변수, 결과변수로는 삶의 질이 있었다.

신체적 증상과 관련된 변수는 기능상태가 2편, 구강상태, 구강건조, 구내염, 구강 안위감, 음성장애, 증상의 심각성, 피로가 각 1편씩 있었다. 동시 화학 방사선요법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차가운 생리식염수 구강함수를 매일 4회 3분간 시행한 결과 구강건조, 구내염, 구강안위감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두절제술 환자의 음성장애는 우울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두경부암 환자의 기능상태는 우울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가족지지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두경부암 환자가 경험하는 신체증상은 구강건조와 피로이며 중등도 이상을 경험하는 환자의 40%이상이 우울과 불안이 있었다. 그리고,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상태를 확인한 결과 방사선 치료 3주차부터 구강상태 악화가 나타나고, 방사선 치료 4주차부터는 중등도 이상의 피로가 나타났다.

정신적 증상과 관련된 변수는 우울 6편, 불안 3편, 절망감 1편, 회복탄력성, 자아 존중감, 자아개념이 각 1편으로 나타났다. 두경부암 환자와 관련된 측정변수 중에서 우울을 측정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지지적 간호중재를 통해 두경부암 수술 후 환자의 우울, 불안, 절망감은 완화되었고,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은 우울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회복탄력성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족과 관련된 변수는 가족 지지가 1편, 사회적 변수로는 사회적 지지 1편, 두경부암 환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는 자가 간호 역량이 1편, 결과변수로는 삶의 질이 5편으로 확인되었다. 두경부암 환자의 가족 지지는 우울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고, 기능 상태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우울 및 음성장애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경부암 환자 중 경부 청소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적용한 어깨 운동프로그램은 어깨 관련 삶의 질이 증진되었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일반적 특성 중에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종교, 월수입이 있었다. 질환과 관련된 특성으로는 기능상태, 치료방법이 단독일 경우, 진단 후 질병 경과기간이 길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불안, 우울, 회복탄력성, 자가 간호 역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 의

본 연구는 국내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2003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시행된 간호 연구 논문 13편을 통합적으로 고찰한 결과를 중심으로 두경부암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 중재 방안과 간호 연구를 구체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유형에서는 13편의 논문 중에서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이 5편, 학위논문이 8편이며,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 중에서도 학위논문을 수정하여 발표한 연구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연구 논문의 수가 제한적인 것은 국내에서 두경부암의 발생이 낮아 질병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한 점으로 판단된다. 두경부암의 원인은 흡연과 음주인데, 2017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연간 음주율은 80%, 현재 흡연율은 평균 22.3%로 분석되어[18], 앞으로 두경부암의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여겨진다[7]. 그러므로,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 학회지를 중심으로 연구 기획, 임상간호 연구 지원을 통한 연구의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 연구 8편, 실험연구 4편, 방법론적 연구가 1편이었다. 전체적으로 조사연구의 수가 많지만, 조사연구 중에서 2편의 종단적 연구와 실험연구 중에서 2편의 무작위 대조군 전후설계연구의 시도는 임상간호 연구 분야에서 주목할 부분이다. 그러나, 두경부암 환자의 질병 치료과정이나 극복경험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질적 연구는 없는 상태이며, 가족을 대상으로 한 돌봄 경험에 대한 연구가 있다[3]. 국외에서는 두경부암 환자의 심리적 경험을 확인한 연구[15], 중년의 두경부암 환자의 질병 대처과정을 확인한 연구[19]가 진행되었다. 국내의 사회적, 정책적 배경은 국외와 차이가 있어, 외국의 연구 결과만으로 국내 두경부암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적응과 대처과정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질적 연구는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파악과 분석이 가능한 점에서, 두경부암 환자와 질병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환자중심의 간호과정과 계획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구강암 수술 환자를 위한 교육용 소책자 개발 연구는 1 편이 있었다. 현재 두경부암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간호문제에 비해 교육 자료에 대한 연구 결과는 제한적이다. 과학적인 지식과 정보제공을 위한 환자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교육자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을 반영하여 두경부암 환자에게 접근 방식을 확장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연구 대상자는 13편의 논문 중에서 12편은 구강, 비강, 후두암 등 전반적인 두경부 암 환자를 포함하는 연구이었고, 1편은 구강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었다. 두경부암은 머리와 목에 발생하는 종양으로, 특정 부위 종양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기에는 연구 참여자 모집과정에서 제한점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두경부암 전문 클리닉, 두경부암 병동과 연계한 산학협동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 연구를 통해 이론을 축적하고 임상실무에 적용하는 다학제적 협력을 할 때 근거기반 간호 연구와 실무의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우수한 질적 간호 제공을 위해 연구하고 노력하는 과정은 전문직 간호발전에 기여할 것이며, 미래의 간호는 보다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간호가 요구되어[20], 간호대학과 간호조직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한 부분으로 판단된다.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신체적 증상과 관련된 변수는 구강건조, 구내염, 구강안위감 등 구강상태와 관련된 요인이 많았다. 두경부암의 신체적 증상 중에서 다수의 환자가 힘들어하는 증상은 구강건조이며[6], 방사선 치료중인 환자의 경우 3주차부터 구강상태가 악화되며, 이러한 구강상태의 손상은 피로와 직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두경부암은 발생부위의 특성상 구강과 관련하여 음식물 삼키기, 연하장애, 영양장애 등의 중요한 간호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와 관련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찬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구강간호를 한 결과 구강건조가 완화되고 구강 안위감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22]. 최근에는 에센셜 오일 가글링이 환자의 갈증과 구강상태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24], 향후 두경부암 환자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내염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로는 생리식염수 외에 약물을 이용한 가글링의 방법이 있고, 두경부암 환자의 경우 치아상태 확인과 관리를 치료 시작 전부터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며, 간호사는 구강위생에 대한 교육과 함께 실천여부를 세심하게 확인하는 과정을 간호계획에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23].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정신적 증상과 관련된 변수로는 우울과 불안이 있었다. 두경부암 환자는 특히 질병 진행 3기와 4기에 심각한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6]. 두경부암 환자는 질병과 미래의 삶에 대한 불확실함, 질병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들로 인해 일상생활의 유지에 어려움이 많아[15], 우울과 불안이 높은 수준이다. 두경부암 환자를 위한 지지적 간호중재는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고[10],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어[9], 환자의 신체적 증상 사정과 함께 정신적 상태를 평가하여 적극적이고 통합적인 간호중재가 요구된다[6]. 그리고 두경부암 환자가 경험하는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긍정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제안자인 Luthans 등[25]의 연구에 의하면,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극복력으로 구성된 개인의 긍정심리자원은 동기화된 노력과 인내심의 기초를 형성하여, 건강과 관련된 환경과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웰빙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따라서 두경부암 환자의 긍정심리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중재 연구를 제안한다.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개인적 변수는 자가 간호 역량, 가족과 관련된 변수는 가족지지, 사회적 변수로 사회적 지지가 있었다. 두경부암 환자는 질병과 관련된 증상으로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이 낮은 상태이다[10].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질병을 진단받고 치료시작 전에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합병증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가간호 역량이 학습된 환자는 우울, 불안이 감소되고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최근 연구에서는 Orem의 자가 간호 이론에 근거한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간호 수행 측정 도구가 개발되었는데[27], 두경부암 환자에게 적합한 자가 간호 수행 측정 도구를 개발한다면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해지고, 환자와 간호사의 긍정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성공적인 자가 간호 수행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두경부암 환자에게 필요한 변수는 가족 지지 및 사회적 지지가 있다. 두경부암 환자는 후천적으로 발생한 외모변화, 발음장애, 어깨 움직임 제한 등의 신체적 기능 장애는 사회활동의 참여가 제한적인 상황으로[12], 가족 지지와 사회 지지가 중요하다. 먼저 가족지지를 살펴보면,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신체적 기능이 좋고, 우울이 낮아져[12], 가족의 긍정적인 역할이 두경부암 환자에게 필요하다[4]. 특히, 국내에서는 두경부암의 발생이 낮아 질병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환자 스스로 사회적 활동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아 가족에 대한 의존은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임상 실무에서는 환자 위주로 간호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나, 두경부암 환자의 경우 가족의 의존도가 높고, 가족의 돌봄 피로도 높은 실정이다[3]. 그러므로, 두경부암 환자를 간호계획에 포함시키고 가족의 돌봄 피로를 고려한 가족 간호를 계획해야 하며, 두경부암 환자 전문 간호사는 환자 자조모임,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정서적 지원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 간병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병 부담감과 소진을 예방하고[4], 더 나아가 두경부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긍정적인 이해를 확산시키기 위한 정보제공, 경제적 지원,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등의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28].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결과변수는 삶의 질이었다.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은 나이, 교육수준, 종교, 수입이 높을수록, 신체적 기능상태가 좋고, 진단 후 질병 치료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또한, 불안과 우울은 낮고, 회복탄력성, 자가 간호 역량,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가족의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검증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간호의 궁극적인 목적은 환자가 최대한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최근 두경부암 환자의 치료에서는 다학제적 팀을 구성한 접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5]. 환자의 간호문제를 단편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즉 의사, 사회사업사, 심리치료사, 재활전문가, 전문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팀 접근을 통해 삶의 질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두경부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국내 두경부암 환자에게 적합한 삶의 질 도구 개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을 고려한 정서적 간호 도구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학자인 Scarpa[29]는 두경부암 환자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간호사의 교육자, 연구자, 자문가, 행정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간호사는 두경부암 환자가 가장 큰 신체적 변화인 후천적인 외모변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신적인 반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환자가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증진을 통해 자가간호 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교육과 설명에 초점을 둔 과학적 간호와 정서적 간호를 포함한 체계적이고 통합적 간호를 실천하며, 두경부암 환자와 가족이 질병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멘토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30]. 더불어, 두경부암 환자의 전문적, 과학적 간호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전문 간호 인력의 양성과 임상실무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 개발 등 전문적 간호제공을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국내 두경부암 환자에 대한 간호 연구 위주로 분석하였고, 검토한 논문의 수가 제한적으로 연구 결과의 확대 해석에는 신중해야 한다. 둘째, 연구자는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학 논문을 최대한 포함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모두 포함하였다고 단언할 수 없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두경부암 환자에 대한 간호연구를 고찰하여 간호 연구와 임상실무에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두경부암 환자에 대한 국내 간호 연구 문헌 13편을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두경부암 환자와 관련된 변수는 구강상태 및 연하장애 등의 신체적 변수, 우울 및 불안 등의 정신적 변수, 사회적지지, 가족 지지가 있었고, 결과 변수로는 삶의 질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그러므로 임상실무에서 두경부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가족의 측면을 고려한 통합적 간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임상 실무와 연구 분야에서 두경부암 환자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증진되고, 연구가 촉진되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향후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중재 연구, 임상 간호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을 제언한다.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 of interest to disclose

References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the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Korean Mor tality related the cause of death[Internet] Daejeon: Korea: [cited 2019 Jun ]. Available from: https://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12#quick_02;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the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Registration of Cancer [Internet] Daejeon: Korea: [cited 2019 Jun 4].Available from: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17044&inputYear=2016.
3. Hah JH. Personalized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s and the role of head and neck surgeons.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Head Neck Surgery 2012;55(8):471–475. http://dx.doi.org/10.3342/kjorl-hns.2012.55.8.471.
4. Im JW, Kwon JY, Ahn SH, Yoon EJ.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xperiences of family care givers of patient with head and neck cancer. The Journal of the Ko rean Contents Association 2015;21(1):10–19. http://dx.doi.org/10.5392/JKCA.2018.18.10.348.
5. Son YI. Current status of immunotherapy in head and neck cancer. Korean Journal of Otolayngeal 2002;45(7):633–640.
6. Kim KH, Choi HL, Lee YS, Jo HJ, Lee SY, Lee SM.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2):41–51.
7. Rhoten BA, Barbara M, Sheila HR. Body image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Oral Oncology 2013;49(8):753–760. http://dx.doi.org/10.1016/j.oraloncology.2013.04.005.
8. Kim HJ, Cho OH, Yoo YS. Symptom severi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mong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6;28(2):148–155. https://dx.doi.org/10.7475/kjan.2016.28.2.148.
9. Seok JH, Kang ES, Choi HS.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hopeless, self-esteem, self-concept of operative patient with head and neck cancer.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4;7(2):189–199.
10. Seok JH, Kang ES.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anxiety, depression of operative patient with head and neck cancer. Korean Journal of Hospice Care 2003;3(2):19–33.
11. So WKW, Chan RJ, Chan DNS, Hughes BGM, Chair SY, Choi KC, et al. Quality-of-life among head and neck cancer survivors at one year after treatment-a systematic review.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12;48(15):2391–2408. http://dx.doi.org/10.1016/j.ejca.2012.04.005.
12. Park YK. Functional status,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5;5(1):31–39.
13.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53. https://dx.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4. Kim JA, Lee SH. Analysis of studies on image of the nurses performed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2):199–211.
15. Lang H, France E, Williams B, Humphris G, Wells M.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living with head and neck cancer: a systemic review and mtta-synthesis. Psycho-Oncology 2013;22(12):2648–2663. https://dx.doi.org/10.1002/pon.3343.
16.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Lee HJ, Son BH,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 analysis for intervention[Internet] 2011. July. 28.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Agency; [cited 2019 July 20]. Available from: https://www.neca.re.kr/lay1/program/S1T11C145/report/view.do?seq=21.
17. Son YJ, Seo EJ. An integrative review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rt failur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9;21(1):22–36. https://dx.doi.org/10.7586/jkbns.2019.21.1.22.
18.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the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The quality of life [Internet] Daejeon: Korea: [cited 2019 Jun 4].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038.
19. Grattan K, Kubrak C, Caine V, O'Connell DA, Olson K. Experiences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in middle adulthood: consequences and coping. Global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2018;5:1–13. https://dx.doi.org/10.1177/2333393618760337.
20. Oh EG, Jang Y, Park J, Lee H, Kim H, Min A, et al. Development of strategic plans for advancing nursing in korea. Asian Nursing Research 2019;13(2):115–121. https://dx.doi.org/10.1016/j.anr.2019.02.003.
21. Song TB. The patients of radiation induced-fatigue and oral state with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master's thesis] 2004. Seoul: Yonsi University; 52.
22. Park JM. The effect of mouth care with cold normal saline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undergoing concurrent chemotherapy[master's thesis] 2010;Seoul: Kyung hee University; :45.
23. Jawad H, Hodson NA, Nixon PJ. A review of dental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before, during and after radiotherapy: Part 1. British Dental Journal 2015;218(2):65–68. http://dx.doi.org.access.hanyang.ac.kr/10.1038/sj.bdj.2015.28.
24. Jeon BR, Chun JS, Lee JY, Park KW. Effects of essential oil gargling and purified water gargling on thirst, oral condition and halitosis of postoperative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2):200–210. http://dx.doi.org/10.22650/JKCNR.2014.20.2.200.
25. Youssef-Morgan CM, Luthans F. Psychological capital and well-being. Stress and Health 2015;31(3):180–188. http://dx.doi.org/10.1001/smi.2623.
26. Ahlberg A, Engström T, Nikolaidis P, Gunnarsson K, Sharp L, Johansson H, et al. Early self-care rehabilitation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cta Oto-Laryngologica 2011;131(5):552–561. http://dx.doi.org.ssl.access.hanyang.ac.kr/10.3109/00016489.2010.532157.
27. Jeon MG, Park GJ. Development of a self-care performance scale for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gastrectomy. Asian Oncology Nursing 2016;16(2):67–74. http://dx.doi.org/10.5388/aon.2016.16.2.67.
28. Balfe M, Keohane K, O'brien K, Sharp L. Social networks, social support and social negativity: A qualitative study of head and neck cancer caregivers' experiences.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17;26(6):1–10. http://dx.doi.org/10.1111/ecc.12619.
29. Scarpa R. Advanced practice nursing in head and neck cancer: implementation of five roles. Oncology Nursing Forum 2004;31(3):579–583.
30. Larrson M, Hedelin B, Athlin E. A supportive nursing care clinic: conceptions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7;11(1):49–59. http://dx.doi.org/10.1016/j.ejon.2006.04.033.
31. Lee M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are agency and quality of life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following surgery[master's thesis] 2004.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32.
32. Jeon YS. Development of educational booklet of the peri-operative management forpatients with oral cavity cancer[master's thesis] 2008. Seoul: Yonsei University; 31.
33. Kim EH. Effects of shoulder exercise program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 after neck dissection operation[master's thesis] 2010.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66.
34. Kim YH. Changes of life quality of life on pre-post operation among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master's thesis] 2013. Chuncheon: Hallym University; 39.
35. Ryu SY. Voice disorder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depression after laryngectomy[master's thesis] 2017. Seoul: Hanyang University; 50.
36. Lee HJ. Impa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resilience on the quality of life in head and and neck cancer patients[master's thesis] 2019. Busan: Kosin University; 43.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Flow of the literature search selection

Table 1.

List of Reviewed Article

No Author(year) Research type Research design Samples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s Measurements Main results

A1 Seok & Kang (2003) [10] Journal Quasi-experimental desig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40 patients post operative head and neck cancer
Experimental group 20
Comparison group 20
Supporting nursing intervention 4 times daily in 20 min post operative 2-5 day Anxiety
Depression
Experimental group Anxiety & Depression improved
A2 Lee (2004) [31] Master’s thesis Descriptive study 70 patienrs post operative head and neck cancer Questionnaire survey Self care agency
Quality of life
Self-care agency & quality of life is positively correlatied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s self-care agency, treatment type, monthly income, religion, periods of post surfery period
A3 Seok et al (2004) [9] Journal Quasi-experimental desig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40 patients post operative head and neck cancer
Experimental group 20
Comparison group 20
Supporting nursing intervention 4 times in daily 20 min post operative 2-5 day Hopeless
Self-esteem
Self-concept
Experimental group Hopeless decreased
Self-esteem & Self-concept increased
A4 Song (2004) [21] Master’s thesis 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 15 patients
Pre & Post radiation therapy head and neck cancer
Duration
Pre ratiation therapy after radiation therapy 5 weeks
Radiation induced Fatigue
Oral state
Radiation induced oral state & fatigue is positively correlated ratiation therapy 3 weeks appears oral stae severed ratiation therapy 4 weeks appears severe fatigue
A5 Park (2005) [12] Journal Descriptive study 100 patients post operative head and neck cancer Questionnaire survey Functional status
Depression
Family support
Functional status & depression is negatively correlated
Functional status & family support is positively correlated
Family suppot & depression is negatively correlated
A6 Kim et al (2006) [6] Journal Descriptive study 60 patients post operative head and neck cancer Questionnaire survey Functional status
Depression
Quality of life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s age, gender, functional status
A7 Jeon (2008) [32] Master’s thesis Methological study 10 patients post operative oral cavity cancer Questionnaire survey
Developemen of educational booklet
Educational needs Developemen of educational booklet for oral cavity cancer
A8 Kim (2010) [33] Master’s thes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12 patients head and neck cancer after neck dissection operation
Experimental group 59
Comparison group 53
Shoulder exercise program duration post operative patients 7-10 days started for 12 weeks 1 time daily 30 min Post program 6, 12 week
Function of shouler joint shouler joint related quality of lif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Function of shouler joint & shouler joint related quality of life improved
A9 Park (2010) [22] Master’s thesi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42 patients
Concurrent chemoradiationtherapy
Experimental group 20
Comparison group 22
Mouthcare with cold normal saline mouthwash duration 4 times daily (after meals, before bedtime) for 6 weeks Oral driness
Oral comfort
Oral mucositis
Experimental group patients oral driness & comfort lower mucositis’s incidence & grade is delayed
A10 Kim (2013) [34] Master’s thesis 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 40 patients head and neck cancer afte operative Pre operation, post operation 3, 6, 9, 12 months Quality of life Quality of life level highest Post operative 12month
A11 Kim et al (2016) [8] Journal Descriptive study 119 patients head and neck cancer after operative Questionnaire survey Symptom severity
Anxiety
Depression
Anxiety & depression Symptom severity positively related
Most severe symptom was dry mouth
A12 Ryu (2017) [35] Master’s thesis Descriptive study 101 patients head and neck cancer afte layngectomy Questionnaire survey Voice disorder
Social support depression
Voice disorder & depression positively correlated
Voice disorder & social support negatively correlated
A13 Lee (2019) [36] Master’s thesis Descriptive study 104 patients head and neck cancer at least one of chemotherapy, surgery, radiation therapy Questionnaire survey Anxiety
Depression
Resilience
Quality of life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s anxiety, depression, treatment method, resilience, post diagnosis period

Table 2.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related variables

Categories Variables Article number

Physical Functional status A5, A6
Oral status A4
Oral driness A9
Mucositis A9
Oral discomfort A9
Voice disorder A12
Symptom severity A11
Fatigue A4
Psychological Depression A1, A5, A6, A11, A12, A13
Anxiety A1, A11, A13
Hopeless A3
Self-esteem A3
Self-concept A3
Resilience A13
Family Family support A5
Social Social support A12
Individual Self care agency A2
Outcome Quality of life A2, A6, A10, A13
Shoulder related quality of life A8